
치유 관광의 출현 배경은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추진 필요성과 트렌드가 모아지고 있는데, 시장이 매우 크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 웰니스 관광객은 일반 국제 관광객에 비해 135%의 높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에서도 치유관광이 증가하고 또한 그래온 이유들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째, 팬데믹의 피로를 치유관광으로 해소하자는 것: 코로나19이후 건강 추구형으로 세계적인 관광 형태가 변하고 있고 이는 한국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사람들의 관광 목적이나 인식이 변하고 있고 치유관광 자체가 최고의 인기 상품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과거의 볼거리에 치중하는 경향이나 공개적인 장소보다도 차단된 곳과 숲길을 찾는 것처럼 쉼과 명상 등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다. 재충전을 위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여행이나 관광을 통해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하겠다는 것이다.
특히, 주목할 점은 웰니스 관광객은 일반 관광객에 비해 해외여행에서 35%, 국내여행에서 177% 더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한국관광공사 한국 관광객 데이터 분석 자료
셋째, 국내 관광산업의 육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 코로나 이후 외래 관광객이 급격히 줄어 심각한 피해를 입은 관광업체들이 많지만 정부 대책은 미흡했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최근 외래 관광객이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에 따라 시대 상황을 고려한 특별한 관광 대책으로 치유 관광이 필요한 것이다.
넷째, 치유 관광으로서 한국 관광산업이 가져온 근본적 문제점을 고칠 수 있다고 한다. 한국 상품이 국제적으로 인기를 끌고는 있으나, 케이팝, 푸드, 드라마뿐 아니라 더 새로운 변화와 도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 문화 예술의 세계시장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고 마케팅 전략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
나와 같은 MZ 세대들도 전통적인 볼거리 위주 관광보다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치유산업에 관심이 많다.
관광 산업 자체가 외부 상황에 취약하며 중장기 비전이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콘텐츠 개발, 신상품 발굴, 새로운 마케팅 전략 추진 등으로 MZ 세대들에게도 부응하는 새로운 도약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나 또한 치유산업에 좀 더 관심을 갖는 이유는 국제적으로 이 산업이 크게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치유관광은 세계적으로 웰니스 관광으로 알려져 있다.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는 바로 건강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국가가 코로나로 피해를 입었고 새로운 관광 형태로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는 치유관광을 선택하는 것이다. 최근 들어서는 그 이상의 가치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치유관광 시장과 이에 따른 콘텐츠가 다양해지고 있고 이뿐 아니라 웰니스 자체적으로도 국제 웰니스 시장 규모가 꽤 많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Global Wellness Institute

현재 웰니스 시장 규모는 미국이 1등, 중국이 2등, 일본이 3등으로 각각 1조 2,157달러, 6,827억, 3,026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웰니스 관광은 세계적 트렌드이지만, 국가별로 특성은 모두 다르다.
미국은 광활한 자연을 바탕으로 자연과 환경 중시 관광자원을 앞세운 시장으로 심신의 건강 추구와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만들어 졌다. 잘먹고, 잘움직이고, 잘 자고, 좋은 기분을 유지하는 것의 큰 흐름을 기조로 몸과 마음에 약이 되는 여행으로서 여행과 건강을 동시에 챙기는 웰니스 관광이 확산되고 있다. 더불어 이뿐만 아니라 관광을 하되 의료관광, 수면관광, 세계 최고의 바이오 기술력을 바탕으로 항노화와 관광을 결합한 웰니스 상품 등다양한 여행 상품이 공격적으로 나오고 있다.
반면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비슷한데 저출산, 고령화 추세로 경제, 교육, 문화, 인구가 도쿄에 집중되고 지방은 쇠퇴하고 있다.
일본도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역 단위의 다양한 치유관광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일본의 경우, 치유관광은 건강한 환경조성, 여성 건강 중시, 민간과 기관의 프로그램 협조, 개인 관광 정보의 가시화 등을 주제로 내세운다.
예를들어, 도시에 근무하는 여성이 지방의 문화와 역사를 체험하는 관광 웰니스가 눈에 띈다.
더욱이 나와도 유학시절 연관이 있는 싱가포르도 마케팅 부문에서 웰니스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변화된 여행 수요에 부응하고자 대대적으로 광고 호보 확대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다. 대만의 경우도 그린푸드, 테라피,다이어트 등 다양한 치유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그리스나 터키등의 관광국들도 헬스 투어리즘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아직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산업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개인적으로 꾸준히 관심 가지고 공부하다보면 민간 산업에도 기회가 있지 않을까 한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각자의 나아갈 새로운 여정!
웰니스프렌즈
'웰니스 여행, 치유 관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니스 리트리트의 성격과 종류 ch.1♪ (7) | 2024.12.25 |
---|---|
→웰니스 리트리트의 시작점→ (5) | 2024.12.24 |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 치유관광 산업 (4) | 2024.09.19 |
★ 스테이 남다른 숙박 경험 선택과 수요★ (0) | 2024.09.19 |
★ 호캉스 나와 우리가 선택한 특별한 시간 ★ (3) | 2024.09.19 |